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QUICK MENU
  • 로그인
  • 사이트맵

학술회의

Q 한국한문학회 2019년도 동계학술대회

ㆍ주제: 韓國漢文學과 騈儷文

ㆍ일시: 2019년 12월 14일(토) 10:00~18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132호
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(사)한자교육진흥회 태학원

ㆍ기조강연: 

 - 심경호(고려대), 한국한문학의 변려체 활용 문체와 그 역사문화상 기능

ㆍ발표: 

 - 표가령(서울대), 俞彦鎬의 「燕石勝遊記」 연구―평점비평을 중심으로

 - 장종미(서울대), 明皐 徐瀅修와 『碧紺珠』

 - 노요한(고려대), 『용비어천가』의 전고와 주해방식

 - 배종석(復旦大), 明淸 교체기 조선사신단의 해양 표류기 연구―安璥의 『駕海朝天錄』을 중심으로

 - 김우정(단국대), 陸贄 騈文의 특징과 『新唐書』 「陸贄傳」에서의 개작 양상

 - 김광섭(광운대), 17세기 문학적 변려문의 특징 고찰―南龍翼의 「儷評」 속 작품을 중심으로

 - 김정숙(울산대), 명대 변려문의 전개와 조선 문단으로의 유전―弘嘉 연간 강남의 오중문인을 중심으로

 - 홍승직(순천향대), 변문과 중국의 국어 교육

ㆍ토론: 정하정(고려대), 한민섭(고려대), 김승우(전주대), 신로사(성균관대), 백진우(전주대), 오보라(연세대), 하지영(세종대), 당윤희(건국대)

Q 한국한문교육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

ㆍ주제: 미래 교육과정과 한문교육의 지향

ㆍ일시: 2019년 7월 6일(토) 9:00~18:4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관 202호

ㆍ주최: 한국한문교육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기조강연: 

 - 김왕규(교원대), 한문교육의 미래와 교육과정의 지향

ㆍ발표: 

 - 김미선(청주대), 인문 고전으로서의 한문과

 - 양원석(고려대), 미래 교육과정과 한자 교육의 지향

 - 김우정(단국대),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검토

 - 남궁원(강원과학고), 한문교과서 체제 연구 - 2015개정교육과정 한문I 교과서를 중심으로

 - 김영주(성균관대), 제재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한문의 위계성 연구

 - 김은경(능곡고), 한문과 교과 독서 수업 사례

 - 함영대(성균관대)·장현곤(광명 광남중), 유교경전 교육의 미래 전략―『만화 논어』의 경우

 - 이현일(성균관대), 대학교 한문학 교육에서의 한시 강의 현황 및 개선 방안

 - 김성중(계명대), 한문 임용시험의 실태 분석과 비판적 고찰

 - 송병렬(영남대), 학교 한문 교육을 위한 한문 문법의 새로운 접근

ㆍ토론: 신두환(안동대), 한은수(서울구암초), 윤지훈(한국교육과정평가원), 김병철(군포고), 이성형(공주대), 정효영(등촌중), 임종수(감신대), 김연수(고려대), 양원석(고려대), 윤재민(고려대)

Q 근역한문학회 2018년 춘계 기획학술대회

ㆍ주제: 【허균 400週忌 기념】 허균 문학·저술의 재조명

ㆍ일시: 2018년 3월 31일(토) 10:30~17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132호

ㆍ주최: 근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정용건(고려대), 中宗代 續纂·增補 사업의 실시와 그 의미

 - 오승준(충남대), 동주 이민구의 노년기 한시 연구

 - 이승용(단국대), 李匡明의 삶과 시세계에 관한 연구

 - 이승재(한국고전번역원), 채제공 『貞元錄』 연구

 - 김풍기(강원대), 허균 문학의 民俗誌的 성격에 대하여

 - 안나미(성균관대), 허균의 도문대작(屠門大嚼) 과 만명(晩明) 문화의 관계

 - 임미정(연세대), 허균 편저의 현황과 제문제

ㆍ토론: 김홍백(성균관대), 이명희(충남대), 맹영일(단국대), 김지영(한국학중앙연구원), 김우정(단국대), 신향림(고려대), 안득용(고려대)

Q 韓國語文敎育硏究會 第211回 全國 學術大會

ㆍ일시: 2017년 5월 20일(토) 9:30~17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132호

ㆍ주최: 韓國語文敎育硏究會·高麗大學校 漢字漢文硏究所

ㆍ주관: 韓國語文敎育硏究會·高麗大學校 漢字漢文硏究所

ㆍ기조강연: 최호철(고려대), 한국어 연구 문제

ㆍ발표: 

 <국어학>

 - 도재학(고려대), 한국어의 부정 명령문과 금지 양태에 대하여

 - 김해금(서울대), 주시경학파의 문장의 범주적 단위에 대한 일고찰

 - 김태우(서울대), 文法 變化는 漸進的인가?

 - 오민석(고려대), 『同文類解』 滿洲語 한글 表記의 電算 入力 方案과 計量的 接近

 - 이선영(홍익대), 外來語가 結合한 新語에 대하여

 - 임채훈(숭실대)·이정덕(서울대), Q-原理에 의한 韓國語 一般 對話 含蓄(General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)

 - 이소흔(서울시립대), 20세기 前半期에 나타난 終結語尾의 意味 機能 實現 樣相

 - 이찬규(중앙대)·응우옌 응옥 뚜이옌(중앙대), 漢字語에 대한 漢字 認知 程度가 단어의 이해와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
 <고전문학·한문학>

 - 오보라(고려대), 西陂 柳僖 史論 散文에 나타나는 사유 양식

 - 박동욱(한양대), 休休子 具康의 암행어사 일기 연구

 - 양훈식(숭실대), 牛溪와 龜峯의 道學詩에 나타난 文藝美

 - 백진우(고려대), 東州 李敏求의 <讀史隨筆> 硏究

 - 정한기(전주교대),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시조의 양상과 배경

 - 신성환(강원대), 朝鮮後期 ‘治産’의 문제와 <治産篇>의 의미

 - 양원석(대만 정치대), 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

 - 이승은(순천향대), 유랑하는 삶의 고통과 상상적 귀향―<흥부전> 다시 읽기

 <현대문학>

 - 안이경(서울대), 大衆歌謠에 나타난 ‘離別’과 女性 話者의 젠더 具顯과 變貌 樣相

 - 박구비(이화여대), 강신재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정치성

 - 노태훈(명지대), 불구의 시대와 문학―박경리 단편소설 유형 연구

 - 이동순(조선대), 고고한 시적 체험과 자기발견―시인 오화룡론

 - 안서현(서울대), 1960~70년대 문학 장과 최인훈 비평

 - 임옥규(단국대), 북한 문학의 감성적 토대와 레토릭 구성

 - 공성수(서강대), 연작소설 『황원행』의 삽화 연구―공간 형상화의 서사적 일관성과 핍진성을 중심으로

 - 최강민(중앙대), 새마을운동 소설에 나타난 새마을 지도자의 모습―이동희의 중편 「농녀」(1975)와 장편 『이무기가 사는 마을』(1977)을 중심으로

 <국어교육>

 - 원운하(인하대), 한·중 한국어 교재 표현문형 대조 분석

 - 조성윤(동국대), 독후 활동으로의 서발문(序跋文)에 드러난 독서 방법 고찰―타인의 책에 써 준 연암의 서발문을 중심으로―

 - 최지지(한양대), 토끼전 영역(英譯)에서 드러나는 문화간 차이와 한국어교육에의 활용 방안 연구

 - 조윤정(중앙대), 高級 韓國語 말하기 敎材의 敎授要目 選定을 위한 연구

 - 왕녕(서울대), 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에 관한 일고―중국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심으로

 - 김시정(한양대)·이성우(한양대), 融復合 授業에서의 敎授學習 相互作用 樣相―學習活動에서의 授業 對話를 中心으로

 - 이내향(광문고), 고등학생 학습자의 고전문학 향유 양상 고찰과 시사점

 - 이승희(상명대), 古典詩歌 텍스트를 활용한 國語史 敎育 內容 選定의 문제―고등학교 교과서 수록 高麗歌謠를 중심으로

ㆍ토론: 

 <국어학>

 장경우(숭실대), 허재영(단국대), 이금희(국민대), 연규동(연세대), 임현열(중앙대), 박철우(안양대), 문병열(한남대), 주지연(영남대)

 <고전문학·한문학>

 하지영(이화여대), 이국진(고려대), 이효숙(건국대), 우지영(경북대), 염창권(광주교대), 장경남(숭실대), 함영대(성균관대), 이명현(중앙대)

 <현대문학>

 송승환(서울여대), 나보령(서울대), 조지혜(서울대), 김낙현(중앙대), 황지영(이화여대), 오창은(중앙대), 김정화(선문대), 모희준(선문대)

 <국어교육>

 손진희(강원대), 주재우(호서대), 고경민(건국대), 김민애(서울대), 유현정(성균관대), 손혜숙(한남대), 이은미(동국대), 임재욱(경북대)

Q 한국한문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일시: 2017년 4월 8일(토) 13:30~18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202호
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후원: (사)한자교육진흥회 태학원, 지리산문학관

ㆍ발표: 

 - 이현일(성균관대), 石菱 金昌熙의 論文十答에 대하여

 - 노요한(고려대), 조선전기 관찬 역사서의 주해 방식에 대하여―『자치통감사정전훈의』를 중심으로

 - 송호빈(고려대), 『華東唱酬集』의 인물정보 취득과 인물록 활용

 - 이효원(서울대), 일본 유학자의 조선연구―伊藤東涯의 『三韓紀略』에 대하여

 - 윤채근(단국대), 『金鰲新話』의 鬼女와 주이상스로서의 사랑―『剪燈新話』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
ㆍ토론: 김우정(단국대), 김보성(성균관대), 장유승(단국대), 하지영(이화여대), 정환국(동국대)

Q 한국실학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주제: 조선 후기 관인학자의 실학적 성향

ㆍ일시: 2017년 3월 11일(토) 13:00~18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청산MK문화관 201호
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김승대(전북도청), 담와 홍계희의 경세론―재지적 기반을 중심으로

 - 신항수(한국교육과정평가원), 홍계희의 의리론과 그 성격

 - 이근호(명지대), 洪啓禧의 官歷과 國政運營論

ㆍ토론: 조준호(실학박물관), 허태용(충북대), 이왕무(경기대)

Q 한국고전번역원·고전번역학회 2016년도 상반기 학술대회

ㆍ주제: 문집 번역의 제문제(3)

ㆍ일시: 2016년 6월 18일(토) 9:00~18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132호

ㆍ주최: 한국고전번역원·고전번역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최문식(성균관대), 고전번역 성과물의 분류체계와 특수고전 번역체계에 대한 연구

 - 김진옥(한국고전번역원), 조선 후기 관서지(官署志)에 대한 고찰

 - 조준호(한국고전번역원), 유건림(柳健休) 동유론어해집평(東儒論語解集評)의 연구 및 역주

 - 권진옥(단국대), 문집 번역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론

 - 정영미(한국고전번역원),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주석의 현황과 특징―2015년 간행서를 중심으로

 - 이승현(성균관대), 명고전집(明皐全集) 시고(詩稿)를 통해 본 텍스트 변질의 실제

 - 이영훈(고려대), 한문고전 번역 개념의 역사적 고찰

ㆍ토론: 김성애(한국고전번역원), 김광태(고려대), , 노경희(조선대), 서정화(고려대), 박동욱(한양대), 박은희(한국고전번역원), 김동준(이화여대)

Q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주제: 효과적인 한자교육을 위한 방향 탐구

ㆍ일시: 2016년 5월 21일(토) 13:00~18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국제관 115호

ㆍ주최: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Q 한국실학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주제: 다산 정약용의 禮學 연구

ㆍ일시: 2016년 4월 2일(토) 13:30~18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국제관 115호
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전성건(연세대), 다산의 제도개혁과 <사례가식>의 위상

 - 신진혜(고려대), 17세기 복제예송(服制禮訟)에 대한 정약용(丁若鏞)의 분석과 그 의미

 - 박종천(고려대), 예학으로 본 정약용의 공동체 구상

 - 김문식(단국대), 다산 정약용의 鄕禮 이해

ㆍ토론: 김윤정(연세대), 이원택(동북아역사재단), 장동우(대진대), 백민정(가톨릭대)

Q 한국한문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일시: 2015년 4월 11일(토) 9:30~17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관 202호
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한국한문학회

ㆍ발표: 

 - 김민학(성균관대), 東谿 趙龜命 문장론의 재검토-蘇東坡를 중심으로

 - 강혜규(서울대), 조선후기 산수유람과 『名山勝槩記』

 - 김유미(서울대), 미국에서의 한국 고전문학 접근방법

 - 곽미라(동국대), 고려후기 문인지식인 집단의 형성과 筆記

 - 오보라(고려대), 西陂 柳僖의 賦에 나타난 주제의식 고찰

 - 조혁상(홍익대), 朝鮮時代 劍士의 文學的 形象化에 대한 考察

ㆍ토론: 이홍식(한양대), 하지영(이화여대), 신정수(고려대), 서정화(고려대), 김진경(고려대), 김홍백(단국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