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3
|
박선이, 조선 후기 科試 참고서 『表東人』에 관한 일고찰
|
한자한문연구소 |
150 |
2022.06.27 |
22
|
이창희, 科體詩 飜譯에 대한 一考察
|
한자한문연구소 |
133 |
2022.06.27 |
21
|
이상욱, 三淵 金昌翕 科詩 고찰
|
한자한문연구소 |
135 |
2022.06.27 |
20
|
노요한 외, 고려대 도서관 소장 과시자료 소개
|
한자한문연구소 |
137 |
2022.06.27 |
19
|
이미진, 雪峯 姜栢年의 表를 통해 본 조선시대 月課 창작의 일단면
|
한자한문연구소 |
146 |
2022.06.27 |
18
|
김광년, 奎章閣의 1781년
|
한자한문연구소 |
124 |
2022.06.27 |
17
|
박선이, 肅宗ㆍ英祖代 科擧制와 科文의 推移와 쟁점에 관한 일고찰
|
한자한문연구소 |
121 |
2022.06.27 |
16
|
윤선영, 한ㆍ중 科擧 經義文 비교
|
한자한문연구소 |
118 |
2022.06.27 |
15
|
김경, 조선후기 향촌사회 科詩 창작 一考
|
한자한문연구소 |
120 |
2022.06.27 |
14
|
박선이, 조선 후기 策題와 출제 경향에 관한 일고찰
|
한자한문연구소 |
123 |
2022.06.27 |
13
|
김기엽, 『嶠南賓興錄』의 판본과 御考 科賦 試券에 대한 小考
|
한자한문연구소 |
120 |
2022.06.27 |
12
|
심경호, 조선의 과거와 문자생활
|
한자한문연구소 |
127 |
2022.06.27 |
11
|
김경⋅김광년, <조선시대 科試 자료의 DB 구축 및 수사문체와 논리구축방식의 변천사 연구> 사업의 개요와 전망
|
한자한문연구소 |
125 |
2022.06.27 |
10
|
김경, 朝鮮後期 南人系 科體詩集 『近藝雋選』 硏究
|
한자한문연구소 |
118 |
2022.06.27 |
9
|
김광년, 조선 후기 科試 연구와 『承政院日記』의 활용
|
한자한문연구소 |
112 |
2022.06.27 |
8
|
이상욱, 조선후기 科策 참고서의 작법 요령
|
한자한문연구소 |
113 |
2022.06.27 |
7
|
윤선영, 조선시대 과거 생원시의 한 과목인 五經義 시제 소고
|
한자한문연구소 |
117 |
2022.06.27 |
6
|
김경⋅이진경, 諧謔性으로 바라본 『𤃡尾編⋅科場』의 특징과 의미
|
한자한문연구소 |
111 |
2022.06.27 |
5
|
박선이, 조선 후기 科文의 실제에 관한 일고찰
|
한자한문연구소 |
118 |
2022.06.27 |
4
|
김광년, 正祖-高宗 年間의 科文集 『臨軒功令』 硏究
|
한자한문연구소 |
123 |
2022.06.27 |
3
|
김경, 事實性으로 바라본 『𤃡尾編⋅科場』의 특징과 의미
|
한자한문연구소 |
126 |
2022.06.27 |
2
|
심경호, 과시, 반제 및 응제 자료의 편재 상황
|
한자한문연구소 |
119 |
2022.06.27 |
1
|
박선이, 조선 후기 科文選集 『儷林』에 대하여
|
한자한문연구소 |
201 |
2022.06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