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QUICK MENU
  • 로그인
  • 사이트맵

학술회의

Q 근역한문학회 2022년 춘계 기획학술대회

ㆍ주제: 조선후기 과문선집의 문헌과 문체

ㆍ일시: 2022년 3월 12일(토) 13:10~18:00

ㆍ장소: 온라인 ZOOM

ㆍ주최: 근역한문학회·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박선이(고려대), 『表東人』을 통해 본 조선시대 科表 학습의 일단면

 - 김기엽(한국국학진흥원), 정조 命撰 『奎華名選』에 수록된 應製文에 대하여

 - 노요한·김민구·남윤지·송채은(고려대), 고려대 도서관 소장 과시자료 소개

 - 이상욱(고려대), 三淵 金昌翕 科詩 고찰

 - 이창희(고려대), 科體詩 飜譯에 대한 一考察

 - 이미진(수원대), 조선시대 月課의 변천과 課表 창작 경향

ㆍ토론: 오보라(퇴계학연구원), 이영준(성신여대), 윤선영(단국대), 장유승(단국대), 김경(한국전통문화대), 김광년(한국과학기술대)

Q 四佳 徐居正 선생 탄신 600주년 기념 학술대회

ㆍ주제: 四佳 徐居正의 문학 정신과 정치·역사 인식

ㆍ일시: 2021년 1월 6일(수) 9:30~17:50

ㆍ장소: 온라인 ZOOM,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TV(You Tube)

ㆍ주최: 한국고전문학회·진단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후원: 大丘徐氏大宗會, 大丘徐氏文忠四佳公派宗會, 한국연구재단

Q 2020 전국고전문학자대회

ㆍ주제: 고전문학과 ‘욕망’: 고전에서 ‘욕망’의 길을 묻다.

ㆍ일시: 2020년 10월 31일(토) 13:00~18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민족문화관 B203호, 온라인 구글 Meet

ㆍ주최: 한국고전문학회, 한국한문학회, 한국고소설학회, 한국구비문학회, 한국시가학회, 한국고전여성문학회

ㆍ주관: 한국고전문학회,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후원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윤재민(고려대), 고전문학과 욕망

 - 정길수(조선대), 한국한문소설의 여성 욕망

 - 이정원(서강대), 여주인공의 욕망으로 본 금오신화의 독자성

 - 이형대(고려대), 조선후기 강호시조와 탈유가적 욕망의 흐름들

 - 유정월(홍익대), 동해안 별신굿에서 노인 여성의 욕망

 - 홍나래(성공회대), <박문수와 백정> 유형 설화를 통해 본 인정 욕망의 이해

ㆍ토론: 신상필(부산대), 윤정안(서울시립대), 이도흠(한양대), 이은우(성신여대), 박현숙(건국대)

Q 동양고전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

ㆍ주제: 朝鮮時代 科擧 文獻의 綜合的 檢討

ㆍ일시: 2020년 8월 28일(금) 13:20~15:30

ㆍ장소: 온라인 구글 Meet

ㆍ주최: 동양고전학회·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주관: 동양고전학회·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기조강연: 

 - 심경호(고려대), 과시 및 응제 자료의 편재 상황

ㆍ발표: 

 - 김경(고려대), 尾編 所在 科場의 특징과 의미(Ⅰ) : 조선후기 科試의 사실성을 중심으로

 - 박선이(고려대), 조선 후기 科儷選集의 편찬과 그 양상에 관한 연구 : 『東儷文』과 『儷林』에 수록된 科表를 중심으로

 - 김광년(고려대), 규장각 소장 과문선집 『臨軒功令』 연구

ㆍ토론: 윤선영(고려대), 권진옥(단국대), 백진우(전주대)

Q 한국한문학회 2019년도 동계학술대회

ㆍ주제: 韓國漢文學과 騈儷文

ㆍ일시: 2019년 12월 14일(토) 10:00~18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132호
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(사)한자교육진흥회 태학원

ㆍ기조강연: 

 - 심경호(고려대), 한국한문학의 변려체 활용 문체와 그 역사문화상 기능

ㆍ발표: 

 - 표가령(서울대), 俞彦鎬의 「燕石勝遊記」 연구―평점비평을 중심으로

 - 장종미(서울대), 明皐 徐瀅修와 『碧紺珠』

 - 노요한(고려대), 『용비어천가』의 전고와 주해방식

 - 배종석(復旦大), 明淸 교체기 조선사신단의 해양 표류기 연구―安璥의 『駕海朝天錄』을 중심으로

 - 김우정(단국대), 陸贄 騈文의 특징과 『新唐書』 「陸贄傳」에서의 개작 양상

 - 김광섭(광운대), 17세기 문학적 변려문의 특징 고찰―南龍翼의 「儷評」 속 작품을 중심으로

 - 김정숙(울산대), 명대 변려문의 전개와 조선 문단으로의 유전―弘嘉 연간 강남의 오중문인을 중심으로

 - 홍승직(순천향대), 변문과 중국의 국어 교육

ㆍ토론: 정하정(고려대), 한민섭(고려대), 김승우(전주대), 신로사(성균관대), 백진우(전주대), 오보라(연세대), 하지영(세종대), 당윤희(건국대)

Q 한국한문교육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

ㆍ주제: 미래 교육과정과 한문교육의 지향

ㆍ일시: 2019년 7월 6일(토) 9:00~18:4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관 202호

ㆍ주최: 한국한문교육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기조강연: 

 - 김왕규(교원대), 한문교육의 미래와 교육과정의 지향

ㆍ발표: 

 - 김미선(청주대), 인문 고전으로서의 한문과

 - 양원석(고려대), 미래 교육과정과 한자 교육의 지향

 - 김우정(단국대),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검토

 - 남궁원(강원과학고), 한문교과서 체제 연구 - 2015개정교육과정 한문I 교과서를 중심으로

 - 김영주(성균관대), 제재에 따른 중학교와 고등학교 한문의 위계성 연구

 - 김은경(능곡고), 한문과 교과 독서 수업 사례

 - 함영대(성균관대)·장현곤(광명 광남중), 유교경전 교육의 미래 전략―『만화 논어』의 경우

 - 이현일(성균관대), 대학교 한문학 교육에서의 한시 강의 현황 및 개선 방안

 - 김성중(계명대), 한문 임용시험의 실태 분석과 비판적 고찰

 - 송병렬(영남대), 학교 한문 교육을 위한 한문 문법의 새로운 접근

ㆍ토론: 신두환(안동대), 한은수(서울구암초), 윤지훈(한국교육과정평가원), 김병철(군포고), 이성형(공주대), 정효영(등촌중), 임종수(감신대), 김연수(고려대), 양원석(고려대), 윤재민(고려대)

Q 근역한문학회 2018년 춘계 기획학술대회

ㆍ주제: 【허균 400週忌 기념】 허균 문학·저술의 재조명

ㆍ일시: 2018년 3월 31일(토) 10:30~17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132호

ㆍ주최: 근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정용건(고려대), 中宗代 續纂·增補 사업의 실시와 그 의미

 - 오승준(충남대), 동주 이민구의 노년기 한시 연구

 - 이승용(단국대), 李匡明의 삶과 시세계에 관한 연구

 - 이승재(한국고전번역원), 채제공 『貞元錄』 연구

 - 김풍기(강원대), 허균 문학의 民俗誌的 성격에 대하여

 - 안나미(성균관대), 허균의 도문대작(屠門大嚼) 과 만명(晩明) 문화의 관계

 - 임미정(연세대), 허균 편저의 현황과 제문제

ㆍ토론: 김홍백(성균관대), 이명희(충남대), 맹영일(단국대), 김지영(한국학중앙연구원), 김우정(단국대), 신향림(고려대), 안득용(고려대)

Q 韓國語文敎育硏究會 第211回 全國 學術大會

ㆍ일시: 2017년 5월 20일(토) 9:30~17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132호

ㆍ주최: 韓國語文敎育硏究會·高麗大學校 漢字漢文硏究所

ㆍ주관: 韓國語文敎育硏究會·高麗大學校 漢字漢文硏究所

ㆍ기조강연: 최호철(고려대), 한국어 연구 문제

ㆍ발표: 

 <국어학>

 - 도재학(고려대), 한국어의 부정 명령문과 금지 양태에 대하여

 - 김해금(서울대), 주시경학파의 문장의 범주적 단위에 대한 일고찰

 - 김태우(서울대), 文法 變化는 漸進的인가?

 - 오민석(고려대), 『同文類解』 滿洲語 한글 表記의 電算 入力 方案과 計量的 接近

 - 이선영(홍익대), 外來語가 結合한 新語에 대하여

 - 임채훈(숭실대)·이정덕(서울대), Q-原理에 의한 韓國語 一般 對話 含蓄(General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)

 - 이소흔(서울시립대), 20세기 前半期에 나타난 終結語尾의 意味 機能 實現 樣相

 - 이찬규(중앙대)·응우옌 응옥 뚜이옌(중앙대), 漢字語에 대한 漢字 認知 程度가 단어의 이해와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

 <고전문학·한문학>

 - 오보라(고려대), 西陂 柳僖 史論 散文에 나타나는 사유 양식

 - 박동욱(한양대), 休休子 具康의 암행어사 일기 연구

 - 양훈식(숭실대), 牛溪와 龜峯의 道學詩에 나타난 文藝美

 - 백진우(고려대), 東州 李敏求의 <讀史隨筆> 硏究

 - 정한기(전주교대),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시조의 양상과 배경

 - 신성환(강원대), 朝鮮後期 ‘治産’의 문제와 <治産篇>의 의미

 - 양원석(대만 정치대), 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

 - 이승은(순천향대), 유랑하는 삶의 고통과 상상적 귀향―<흥부전> 다시 읽기

 <현대문학>

 - 안이경(서울대), 大衆歌謠에 나타난 ‘離別’과 女性 話者의 젠더 具顯과 變貌 樣相

 - 박구비(이화여대), 강신재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정치성

 - 노태훈(명지대), 불구의 시대와 문학―박경리 단편소설 유형 연구

 - 이동순(조선대), 고고한 시적 체험과 자기발견―시인 오화룡론

 - 안서현(서울대), 1960~70년대 문학 장과 최인훈 비평

 - 임옥규(단국대), 북한 문학의 감성적 토대와 레토릭 구성

 - 공성수(서강대), 연작소설 『황원행』의 삽화 연구―공간 형상화의 서사적 일관성과 핍진성을 중심으로

 - 최강민(중앙대), 새마을운동 소설에 나타난 새마을 지도자의 모습―이동희의 중편 「농녀」(1975)와 장편 『이무기가 사는 마을』(1977)을 중심으로

 <국어교육>

 - 원운하(인하대), 한·중 한국어 교재 표현문형 대조 분석

 - 조성윤(동국대), 독후 활동으로의 서발문(序跋文)에 드러난 독서 방법 고찰―타인의 책에 써 준 연암의 서발문을 중심으로―

 - 최지지(한양대), 토끼전 영역(英譯)에서 드러나는 문화간 차이와 한국어교육에의 활용 방안 연구

 - 조윤정(중앙대), 高級 韓國語 말하기 敎材의 敎授要目 選定을 위한 연구

 - 왕녕(서울대), 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에 관한 일고―중국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중심으로

 - 김시정(한양대)·이성우(한양대), 融復合 授業에서의 敎授學習 相互作用 樣相―學習活動에서의 授業 對話를 中心으로

 - 이내향(광문고), 고등학생 학습자의 고전문학 향유 양상 고찰과 시사점

 - 이승희(상명대), 古典詩歌 텍스트를 활용한 國語史 敎育 內容 選定의 문제―고등학교 교과서 수록 高麗歌謠를 중심으로

ㆍ토론: 

 <국어학>

 장경우(숭실대), 허재영(단국대), 이금희(국민대), 연규동(연세대), 임현열(중앙대), 박철우(안양대), 문병열(한남대), 주지연(영남대)

 <고전문학·한문학>

 하지영(이화여대), 이국진(고려대), 이효숙(건국대), 우지영(경북대), 염창권(광주교대), 장경남(숭실대), 함영대(성균관대), 이명현(중앙대)

 <현대문학>

 송승환(서울여대), 나보령(서울대), 조지혜(서울대), 김낙현(중앙대), 황지영(이화여대), 오창은(중앙대), 김정화(선문대), 모희준(선문대)

 <국어교육>

 손진희(강원대), 주재우(호서대), 고경민(건국대), 김민애(서울대), 유현정(성균관대), 손혜숙(한남대), 이은미(동국대), 임재욱(경북대)

Q 한국한문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일시: 2017년 4월 8일(토) 13:30~18:3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(서관) 202호
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후원: (사)한자교육진흥회 태학원, 지리산문학관

ㆍ발표: 

 - 이현일(성균관대), 石菱 金昌熙의 論文十答에 대하여

 - 노요한(고려대), 조선전기 관찬 역사서의 주해 방식에 대하여―『자치통감사정전훈의』를 중심으로

 - 송호빈(고려대), 『華東唱酬集』의 인물정보 취득과 인물록 활용

 - 이효원(서울대), 일본 유학자의 조선연구―伊藤東涯의 『三韓紀略』에 대하여

 - 윤채근(단국대), 『金鰲新話』의 鬼女와 주이상스로서의 사랑―『剪燈新話』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
ㆍ토론: 김우정(단국대), 김보성(성균관대), 장유승(단국대), 하지영(이화여대), 정환국(동국대)

Q 한국실학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

ㆍ주제: 조선 후기 관인학자의 실학적 성향

ㆍ일시: 2017년 3월 11일(토) 13:00~18:00

ㆍ장소: 고려대학교 청산MK문화관 201호
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ㆍ발표: 

 - 김승대(전북도청), 담와 홍계희의 경세론―재지적 기반을 중심으로

 - 신항수(한국교육과정평가원), 홍계희의 의리론과 그 성격

 - 이근호(명지대), 洪啓禧의 官歷과 國政運營論

ㆍ토론: 조준호(실학박물관), 허태용(충북대), 이왕무(경기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