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
QUICK MENU
  • 로그인
  • 사이트맵

연구논문

2022년
  • 김기엽, 「1881년 朝士視察團 書啓ㆍ別單 자료의 문헌적 검토」, 『고전과 해석』 36,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.
  • 노요한, 「고려말~조선초 朱熹 楚辭集注 楚辭辯證 楚辭後語의 수입과 간행에 대하여」, 『동방한문학』 90, 동방한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소재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」, 『유학연구』 59,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.
  • 노요한⋅김민구⋅남윤지⋅송채은, 「고려대 중앙도서관 만송문고 소장 과시 자료 소개」, 『한문학논집』 62, 근역한문학회.
  • 박선이, 「조선 후기 科試 참고서 『表東人』에 관한 일고찰」, 『한문학논집』 62, 근역한문학회.
  • 송호빈, 「2010년 이후 일본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문교육연구의 현황」, 『한문고전연구』 44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신향림, 「소재(穌齋) 노수신(盧守愼)의 시문에 나타난 기(奇)의 미감에 대하여」, 『유학연구』 59,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.
  • 심경호, 「외재(畏齋) 정태진(丁泰鎭)의 시문에 대한 규견(窺見)」, 『연민학지』 37, 연민학회.
  • 심경호, 「『황화집』 서문과 기자 관련 창수에 나타난 조선 문신의 자주적 문명의식」, 『규장각』 47, 한국학중앙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『성호사설』의 屠隆 『鴻苞集』 인증에 대하여」, 『한문학논집』 62, 근역한문학회.
  • 이남면, 「소재 노수신 오언율시의 표현 수법 연구」, 『유학연구』 59,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.
  • 이미진, 「雪峯 姜栢年의 表를 통해 본 조선시대 月課 창작의 일단면」, 『고전과 해석』 36,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.
  • 이상욱, 「삼연(三淵) 김창흡(金昌翕) 과시(科詩) 고찰 -17세기 조선 과시(科詩)의 역사적 전개와 관련하여-」, 『열상고전연구』 77, 열상고전연구회.
  • 이창희, 「科體詩 飜譯에 대한 체제 모색과 제언」, 『한문학논집』 62, 근역한문학회.
  • 이창희, 「한국 고소설 영역(英譯)의 현황과 과제」, 『고소설연구』 53, 한국고소설학회.

 

2021년
  • 김경, 「‘고양이[猫]’를 소재로 한 假傳의 특징과 의미―「烏圓子傳」과 「烏圓傳」의 編綴性을 중심으로」, 『어문연구』 49-3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
  • 김경, 「조선후기 향촌사회 科詩 창작 一考―『科賦抄』 所在 「醉翁亭記」 대상 작품을 중심으로」, 『동방한문학』 88, 동방한문학회.
  • 김경, 「朝鮮後期 南人系 科體詩集 󰡔近藝雋選󰡕 硏究」, 『민족문화』 57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김광년, 「奎章閣의 1781년―內閣日曆을 통해 본 抄啓文臣 應製의 실상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5, 동양고전학회.
  • 김기엽, 「『嶠南賓興錄』의 판본과 御考 科賦 試券에 대한 小考」, 『동방한문학』 87, 동방한문학회.
  • 김기엽, 「판본의 異文을 통해 본 〈佛說大報父母恩重經〉의 문헌학적 특징―龍珠寺 판본을 중심으로」, 『한문학논집』 58, 근역한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유득공 『발해고』의 사료인용 양상과 역사서술 방법」, 『한국실학연구』 42, 한국실학학회.
  • 노요한, 「조선전기 元好問 『遺山樂府』의 수용에 대하여: 金時習의 예를 중심으로」, 『한문학보』 45, 우리한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조선초 서적간행의 토대 구축과 종이의 공급」, 『한문학논집』 60, 근역한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1908년 金允植의 일본 방문과 芝城山館 시문창화의 의미―『東槎謾吟』과 『芝城山館納涼唱和集』을 중심으로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4, 동양고전학회.
  • 노요한, 「세조-성종연간 서거정의 저술과 편찬 활동」, 『진단학보』 136, 진단학회.
  • 노요한, 「안평대군의 《匪懈堂選半山精華》 편찬과 주해방법」, 『한문학논집』 59, 근역한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󰡔龍飛御天歌󰡕의 典據와 註解에 대한 文獻學的 硏究」, 『어문연구』 49-1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
  • 박선이, 「肅宗∙英祖代 科擧制와 科文의 推移와 쟁점에 관한 일고찰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83, 한국한문학회.
  • 박선이, 「조선 후기 策題와 출제 경향에 관한 일고찰―肅宗∼正祖 시기를 중심으로」, 『한민족어문학』 93, 한민족어문학회.
  • 신향림, 「「高山九曲歌」의 작자 문제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82, 한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이황의 表箋과 上樑文」, 『퇴계학논집』 28, 영남퇴계학연구원.심경호, 「정약용 수택본 《규장전운》 按語와 傳 장지완 《규장전운간오》의 비교」, 『한문학논집』 59, 근역한문학회.
  • 양원석, 「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」, 『한민족어문학』 92, 한민족어문학회.
  • 윤선영, 「한∙중 科擧 經義文 비교―조선시대 四書疑∙五經義와 명∙청대 八股文을 중심으로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83, 한국한문학회.
  • 윤재민, 「안석경(安錫儆)의 <검녀(劍女)> 다시 읽기」, 『고소설연구』 51, 한국고소설학회.
  • 윤재민, 「韓國의 開化期 漢文 敎育(1)―公文式의 文書 表記 規定 再檢討」, 『漢字漢文敎育』 50,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.
  • 이남면, 「경북 울진의 海月軒 시문에 대한 연구」, 『대동한문학』 69, 대동한문학회.
  • 이남면, 「남용익의 <讀史詩長篇三百二十五韻>에 대하여」, 『온지논총』 67, 온지학회.
  • 이남면, 「이수광 시의 표현 방식과 미적 특성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2, 동양고전학회.
  • 이미진, 「17세기 이후 실존 인물을 제재로 한 說의 특징」, 『우리어문연구』 71, 우리어문학회.
  • 이미진, 「‘雜’의 의미를 통해 본 조선시대 雜說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42-1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이창희, 「2015 개정 중・고등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포용 가치 양상에 대하여」, 『인문사회 21』 12-1,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.
  • 임준철, 「『分類補注李太白詩』의 조선시대 수용 양상(Ⅰ)―전∙중기를 중심으로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93,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임준철, 「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」, 『漢字漢文敎育』 51,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.
  • 임준철, 「한시 意象 통계 연구의 성과와 과제―해외 연구사례를 중심으로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53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임준철, 「〈風騷軌範〉의 〈分類補註李太白詩〉 수용과 재분류」, 『漢文學論集』 58, 근역한문학회.

 

2020년
  • 김경, 「諧謔性으로 바라본 𤃡尾編・科場의 특징과 의미」, 『대동한문학』 64, 대동한문학회.
  • 김경, 「事實性으로 바라본 『𤃡尾編⋅科場』의 특징과 의미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0, 동양고전학회.
  • 김경, 「韓國 題畫詩에서 구현된 고양이[猫]와 그 의미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50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김광년, 「『再造藩邦志』의 作者와 板本 硏究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41-1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김광년, 「조선 후기 科試 연구와 󰡔承政院日記󰡕의 활용」, 『동방한문학』 85, 동방한문학회.
  • 김광년, 「韓國漢文學에서의 ‘修辭立其誠’ 논의와 그 修辭學的 맥락」, 『수사학』 38, 한국수사학회.
  • 김광년, 「正祖-高宗 年間의 科文集 『臨軒功令』 硏究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0, 동양고전학회.
  • 김광년, 「申翊聖의 金剛山 遊記를 통해 본朝鮮 後期 遊記의 文體的 多變化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77, 한국한문학회.
  • 김연주, 「秋淵 權龍鉉의 『秋淵集』을 통해 본 근현대 한문 작품의 素材와 서술 양상」, 『동양한문학연구』 55, 동양한문학회.
  • 김기엽, 「신지제(申之悌)의 수창시(酬唱詩)를 통해 본 영남 학맥 소통의 일단면」, 『어문논집』 89, 민족어문학회.
  • 김기엽, 「申之悌의 詩에 나타난 交遊 양상 연구」, 『민족문화』 55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노요한, 「조선전기 『須溪校本陶淵明詩集』의 간행과 유진옹 비점의 양상」, 『한문학보』 43, 우리한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세종대의 주해본 편찬 과정에 대하여: <<자치통감사정전훈의>>를 중심으로」, 『진단학보』 135, 진단학회.
  • 노요한, 「金允植(号:雲養)と日本人官僚・文人学者の詩文唱和について─<雲養集>所収<槎謾吟>と<芝城山館納涼唱和集 輕妙唱和集>を中心に」, 『立命館アジア 日本研究学術年報』, 立命館大學アジア 日本研究所.
  • 노요한, 「고려말-조선초 經部 중국서적의 수입과 간행에 대하여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40-1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박선이, 「조선 후기 科文의 실제에 관한 일고찰―『東儷文』과 『儷林』에 수록된 科表를 중심으로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0, 동양고전학회.
  • 박선이, 「조선 후기 科文選集 『儷林』에 대하여―자료 개관 및 가치와 그 의의를 중심으로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50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심경호, 「과시, 과제 및 응제 자료의 편재 상황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0, 동양고전학회.
  • 심경호, 「낙서와 지천 최명길의 창수(唱酬) 및지천의 서찰에 관하여」, 『열상고전연구』 71, 열상고전연구회.
  • 심경호, 「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 그 역사문화상 기능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77, 한국한문학회. 심경호, 「조선시대 개인일기의 종류와 기록자 계층」, 『동아한학연구』 14,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.
  • 심경호, 「<성호사설>의 생물지식 개편 시도」, 『漢文學論集』 55, 근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고려 중, 후기 역사 서술문체의 다변화와 이승휴의 선택」, 『선도문화』 28,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출판부.
  • 심경호, 「한국 근대의 지식 분류 방식과 정보원의 변화」, 『한국연구』 5, (재)한국연구원.
  • 양원석, 「韓國 固有漢字의 造字原理 고찰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1, 동양고전학회.
  • 양원석, 「茶山丁若鏞對《論語》「哀而不傷」、「弦歌之聲」、「放鄭聲」之詮釋」, 『韓國文化敎育硏究』 5, 國立政治大學 韓國文化敎育中心.
  • 양원석, 「한자어휘 교육을 위한 字義에 대한 이해」, 『漢文敎育硏究』 54, 한국한문교육학회.
  • 윤선영, 「조선시대 과거 생원시의 한 과목인 五經義 시제 소고」, 『南冥學硏究』 67, 경남문화연구원.
  • 윤선영, 「조선 시대 科擧 四書疑 과목에 보이는 尊朱子的 양상 고찰」, 『동아한학연구』 14,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.
  • 이남면, 「조찬한의 「칠각(七覺)」에 대하여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81, 동양고전학회.
  • 이미진, 「說에 나타난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」, 『한국언어문학』 113, 한국언어문학회.
  • 이창희, 「제임스 게일(James Scarth Gale)의 『九雲夢』 飜譯 樣相 考察」, 『우리어문연구』 67, 우리어문학회.
  • 이창희, 「杜詩分門纂類書의 분류체계 考察」, 『대동한문학』 62, 대동한문학회.

 

2019년
  • 김경, 「南九明 說의 특징과 이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濟州」, 『어문논집』 87, 민족어문학회.
  • 김경, 「한문학에서의 ‘고양이[猫]’ 名稱과 別稱에 대한 考察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74, 한국한문학회.
  • 김경, 「韓國漢詩에서 ‘고양이[猫]’ 意象의 체계와 의미」, 『대동한문학』 59, 대동한문학회.
  • 김경, 「18세기 自傳에서의 他者化 양상과 그 의미―李德懋와 兪漢雋을 중심으로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82,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김광년, 「朝鮮 文人들이 바다를 통해 본 것들―‘觀海’를 제재로 한 한문 산문에 대한 考察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38-1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김광년, 「靜虛堂 洪柱世의 文學 初探」, 『고전과 해석』 27,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.
  • 김기엽, 「梧峯 申之悌의 生涯와 詩에 표출된 鬱結의 樣相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76, 한국한문학회.
  • 김기엽, 「18세기 朝鮮과 日本에서 편집한 李滉 書札 選集에 대한 一考察―[退溪先生書節要]와 [李退溪書抄]를 中心으로」, 『藏書閣』 42, 한국학중앙연구원.
  • 김기엽, 「1796년 영남 문인의 금강산 유람과 체험의 공유 양상」, 『어문논집』 86, 민족어문학회.
  • 김기엽, 「祭文抄의 특징과 편찬 목적」, 『한문학논집』 52, 근역한문학회.
  • 김언종, 「난은(懶隱) 이동표(李東標) 선생의 삶―이해 초월의 지조와 금도」, 『민족문화논총』 71,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.
  • 노요한, 「조선전기 莊子書의 유입과 간행」, 『우리문학연구』 64, 우리문학회.
  • 노요한, 「󰡔찬주분류두시󰡕의 편찬과 주해 방식」, 『어문연구』 47-4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
  • 송혁기, 「조귀명 산문의 작가의식과 구현 양상」, 『漢文學論集』 52, 근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韓國漢學遺産硏究與國際接軌之必要性」, 『韓國學報』 36,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.
  • 심경호, 「『차상찬 전집』(1~3, 차상찬전집편찬위원회, 2018)에 관한 단상(斷想)」, 『근대서지』 20, 근대서지학회.
  • 심경호, 「허균의 기행시집 『을병조천록』에 대하여」, 『열상고전연구』 69, 열상고전연구회.
  • 심경호, 「학서(鶴棲) 류이좌(柳台佐)의 갱화(賡和)와 응제(應製)에 관하여」, 『동양학』 76, 동양학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The Fundamental Studies Concern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the Associated Compilation of Texts with Collected Commentaries during the Reign of Sejong」, 『THE REVIEW OF KOREAN STUDIES』 22-1, 한국학중앙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서평: 한국어. 어느 진지한 탐색: 한자문화권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한문학 및 문헌학의 가치, “장보웨이 저, 심경호 역, 『동아시아 한문학 연구의 방법과 실천』"」, 『어문론총』 80, 한국문학언어학회.
  • 심경호, 「교토대학 소장 금석집첩(金石集帖)에 대하여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83,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학봉 김성일과 일본 유학―학봉의 군자유(君子儒) 풍모가 후지와라 세이카에게 끼쳤을 영향에 대하여」, 『열상고전연구』 67, 열상고전연구회.
  • 양원석, 「미래 교육과정과 한자 교육의 지향」, 『漢文敎育硏究』 53, 한국한문교육학회.
  • 양원석, 「中國과 臺灣의 한문원전 정보화와 코퍼스 구축 현황」, 『漢文學論集』 53, 근역한문학회.
  • 윤선영, 「조선 후기 과거(科擧) 생원시(生員試) 문답의 한계점 고찰―사서의(四書疑) 과목을 중심으로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45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이남면, 「통신사행인의 바다 체험과 한시―남용익을 중심으로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38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이미진, 「의원설(醫員說)에 나타난 주제 구현 방식 고찰」, 『한국문학연구』 61, 한국문학연구소.
  • 이미진, 「德村 梁得中의 趙苞 고사 인식과 그 의미」, 『어문연구』 47-1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
  • 이창희, 「리차드 러트(Richard Rutt)의 『九雲夢』 英譯本의 底本 활용양상과 번역전략 연구」, 『민족문화』 54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임준철, 「漢詩 分門纂類의 전통과 조선 전기 <風騷軌範>」, 『漢文學論集』 54, 근역한문학회.
  • 임준철, 「『風騷軌範』의 編纂과 體裁 특성 연구」, 『한국시가연구』 48, 한국시가학회.
  • 최일영, 「죽석관 서영보의 문학관 연구」, 『동방학』 41, 동양고전연구소.
  • 최일영, 「恕菴 申靖夏의 蘇軾 애호 양상 및 문학적 영향 관계」, 『동양한문학연구』 52, 동양한문학회.

 

2018년
  • 김경, 「朝鮮後期 類書에서의 ‘고양이’ 기록과 그 의미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41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김광년, 「朝鮮 後期 漢文學과 方孝孺―방효유에 대한 문학적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」, 『어문논집』 84, 민족어문학회.
  • 김광년, 「象村 申欽의 記文 硏究」, 『고전과 해석』 24,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.
  • 김기엽, 「1881년 어윤중이 쓴 「담초(談草)」의 특징과 대담에 나타난 한·중·일의 정세」, 『정신문화연구』 41-2, 한국학중앙연구원.
  • 노요한, 「世祖命撰 <易學啓蒙要解>의 刊行과 註解方式에 대하여」, 『고인쇄문화』 25, 청주고인쇄박물관.
  • 노요한, 「조선전기 『風雅翼選詩』의 간행과 『選詩補註』의 주해방식에 대하여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36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박선이, 「『正始文程』을 통해 살펴본 정조 문체정책의 한 국면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80,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박선이, 「정조의 『瓊林文喜錄』 편찬과 그 의의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40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송혁기, 「고전으로 정의 말하기―한문 고전 활용 신문 칼럼을 대상으로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72, 한국한문학회.
  • 신향림, 「노수신과 허균의 욕망론과 수양론―양명학 수용과 관련하여」, 『양명학』 51, 한국양명학회.
  • 심경호, 「十三經注疏 번역의 필요성과 방법―부 : 전통문화연구회의 사례 검토」, 『고전번역연구』 9, 한국고전번역학회.
  • 심경호, 「강화학안 편술의 제안」, 『양명학』 51, 한국양명학회.
  • 심경호, 「고전문학 발전의 실상과 연구 과제―운어(韻語)의 발달에 대한 일고찰」, 『국어국문학』 185, 국어국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김삿갓 한시에 대한 비판적 검토」, 『漢文學論集』 51, 근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이름과 호의 한자문화」, 『語文硏究』 46-3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
  • 심경호, 「조선시대 지식정보 휘집 편찬물의 연구를 위한 초보적 탐색」, 『한국사상사학』 59, 한국사상사학회.
  • 심경호, 「漢字辭典의 현재적 의미와 개선 방안」, 『동양학』 71, 동양학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세계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국의 역할」, 『동방한문학』 74, 동방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」, 『漢文學論集』 49, 근역한문학회.
  • 양원석, 「翁方綱의 詩經學—‘漢宋兼采’의 경향을 중심으로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70, 동양고전학회.
  • 양원석, 「茶山 丁若鏞 字學에 대한 연구―茶山 字學 연구의 범위 및 經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」, 『大東漢文學』 54, 대동한문학회.
  • 양원석, 「臺灣의 한문고전 전산화 현황과 그 의의」, 『漢文學論集』 49, 근역한문학회.
  • 윤선영, 「조선 시대 科擧 四書疑 試文 一考」, 『한문학논집』 50, 근역한문학회.
  • 윤재민, 「古典文學과 權力」, 『고전과 해석』 26,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.
  • 윤재민, 「中∙高等學校 漢文 敎科書의 傳統的 價値觀 具現과 그 特性」, 『漢字漢文敎育』 44,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.
  • 이남면, 「『嶺南樓詩韻』에 수록된 한시의 특징 연구」, 『대동한문학』 57, 대동한문학회.
  • 임준철, 「한시와 영화 엮어 읽기―대학 교양교육에서의 한시 교육 방안에 대한 일 모색」, 『漢文敎育硏究』 51, 한국한문교육학회.
  • 임준철, 「構成燕行錄幻術記事的三種層次與幻史」, 『域外漢籍硏究集刊』 16, 北京: 中華書局.

 

2017년
  • 김경, 「洪厓 李箕元 記文 硏究」, 『대동한문학』 53, 대동한문학회.
  • 김경, 「說에서의 ‘고양이(猫)’ 작품양상과 주제구현 방식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76,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김경, 「18~19세기 散文에 나타난 ‘月’ 담론과인식의 일국면」, 『漢文敎育硏究』 48, 한국한문교육학회.
  • 김광년, 「조선 후기 문인들의 『山海經』 認識과 受容」, 『日本學硏究』 52, 일본연구소.
  • 김광년, 「申欽家의 辭賦 文學에 나타난 歸去來 意識」, 『동양고전연구』 66, 동양고전학회.
  • 김기엽, 「조선 후기 문인들의 辭達에 대한 해석과 문학론적 수용 양상」, 『민족문화』 50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김기엽, 「『杻山文稿』에 나타난 李友信의 文論 硏究」, 『동방한문학』 72, 동방한문학회.
  • 김언종, 「수당(修堂) 이남규(李南珪) 예의식(禮意識)의 특징적 면모」, 『민족문화』 50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김언종, 「조선 유학(朝鮮儒學)의 일본 전파 경로에 관한 재론(再論)」, 『퇴계학논집』 20, 영남퇴계학연구원.
  • 노요한, 「조선전기 관찬 역사서의 주해방식에 대하여(2): 『자치통감강목사정전훈의』를 중심으로」, 『진단학보』 129, 진단학회.
  • 노요한, 「조선전기 관찬 역사서의 주해 방식에 대하여―'자치통감사정전훈의'를 중심으로」, 『규장각』 50, 규장각한국학연구원.
  • 노요한, 「白川先生の興硏究と<杜律虞註>の興說について」, 『立命館白川靜記念東洋文字文化硏究所紀要』, 立命館白川靜記念東洋文字文化硏究所.
  • 박선이, 「조선 전기 『三場文選』의 수용양상에 관한 일고찰」, 『고전과 해석』 22,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.
  • 송혁기, 「인문고전으로서의 한문교육에 대한 管見―대학 교양교육의 맥락에서」, 『漢文敎育硏究』 48, 한국한문교육학회.
  • 신향림, 「許筠의 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再論―『乙丙朝天錄』을 중심으로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68, 한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조선후기 변격시문에 관한 일고찰」, 『大東漢文學』 53, 대동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성호의 僿說과 지식 구축 방식(2)」, 『민족문화』 50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심경호, 「방법으로서의 에도―조선후기 학술과 에도 문화지성사의 다섯 가지 비교」, 『漢文學論集』 48, 근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생평 서술의 전통과 현대 평전 작성의 방법」, 『한국한문학연구』 67, 한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일본의 자술문학 전통에 관하여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76,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<한국한문학사>와 <조선문학사>의 ‘문학’ 관념과 한문학사 서술방식」, 『연민학지』 28, 연민학회.
  • 심경호, 「한국 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」, 『漢文學論集』 47, 근역한문학회.
  • 심경호, 「첨모당(瞻慕堂) 임운(林芸)의 생애와 학술」, 『南冥學硏究』 54, 경남문화연구원.
  • 심경호, 「성호의 僿說과 지식 구축 방식(1)」, 『민족문화』 49, 한국고전번역원.
  • 심경호, 「<조선교육사>의 전근대 시기 교육사 서술에 관한 비판적 검토」, 『애산학보』 43, 애산학회.
  • 심경호, 「韓国と日本における初期公讌詩の比較」, 『JOURNAL OF KOREAN CULTURE』 36,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.
  • 양원석, 「中國學界研究韓國漢字學之動向及其意義」, 『韓國文化教育研究』 2, 國立政治大學 韓國文化教育中心.
  • 양원석, 「韓國漢字學硏究領域及其意義探究」, 『韓國學報』 29,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.
  • 양원석, 「漢字 字源을 통한 中國神話 人物 이해」, 『日本學硏究』 50, 일본연구소.
  • 윤선영, 「순조~철종대 科擧 四書疑 시제 출제경향 연구」, 『규장각』 51, 규장각한국학연구원.
  • 윤재민, 「漢文 古典飜譯의 一問題」, 『고전번역연구』 8, 한국고전번역학회.
  • 이남면, 「조현명 시에 나타난 ‘탕평’ 관련 의식 연구」, 『漢文古典硏究』 35-1, 한국한문고전학회.
  • 임준철, 「支流와 還流: 自傳文學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自挽詩」, 『민족문화연구』 76, 민족문화연구원.
  • 임준철, 「自挽詩의 자아 혼성(hybrid)와 시적 정체성―조선시대 자만시를 중심으로」, 『한자한문연구』 12,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.
  • 임준철, 「金澤榮과 張麟年의 交遊와 自挽詩―韓中 자만시 비교(3)」, 『漢文學論集』 47, 근역한문학회.
  • 최일영, 「歐陽脩의 ‘三多’ 本義 推定―‘商量多’를 중심으로」, 『어문연구』 45-4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