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술회의
- Q 한국고전번역원·고전번역학회 2016년도 상반기 학술대회
-
ㆍ주제: 문집 번역의 제문제(3)
ㆍ일시: 2016년 6월 18일(토) 9:0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132호
ㆍ주최: 한국고전번역원·고전번역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ㆍ발표:
- 최문식(성균관대), 고전번역 성과물의 분류체계와 특수고전 번역체계에 대한 연구
- 김진옥(한국고전번역원), 조선 후기 관서지(官署志)에 대한 고찰
- 조준호(한국고전번역원), 유건림(柳健休) 동유론어해집평(東儒論語解集評)의 연구 및 역주
- 권진옥(단국대), 문집 번역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론
- 정영미(한국고전번역원),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주석의 현황과 특징―2015년 간행서를 중심으로
- 이승현(성균관대), 명고전집(明皐全集) 시고(詩稿)를 통해 본 텍스트 변질의 실제
- 이영훈(고려대), 한문고전 번역 개념의 역사적 고찰
ㆍ토론: 김성애(한국고전번역원), 김광태(고려대), , 노경희(조선대), 서정화(고려대), 박동욱(한양대), 박은희(한국고전번역원), 김동준(이화여대)
- Q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
-
ㆍ주제: 효과적인 한자교육을 위한 방향 탐구
ㆍ일시: 2016년 5월 21일(토) 13:0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국제관 115호
ㆍ주최: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- Q 한국실학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
-
ㆍ주제: 다산 정약용의 禮學 연구
ㆍ일시: 2016년 4월 2일(토) 13:3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국제관 115호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ㆍ발표:
- 전성건(연세대), 다산의 제도개혁과 <사례가식>의 위상
- 신진혜(고려대), 17세기 복제예송(服制禮訟)에 대한 정약용(丁若鏞)의 분석과 그 의미
- 박종천(고려대), 예학으로 본 정약용의 공동체 구상
- 김문식(단국대), 다산 정약용의 鄕禮 이해
ㆍ토론: 김윤정(연세대), 이원택(동북아역사재단), 장동우(대진대), 백민정(가톨릭대)
- Q 한국한문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
-
ㆍ일시: 2015년 4월 11일(토) 9:30~17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관 202호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한국한문학회
ㆍ발표:
- 김민학(성균관대), 東谿 趙龜命 문장론의 재검토-蘇東坡를 중심으로
- 강혜규(서울대), 조선후기 산수유람과 『名山勝槩記』
- 김유미(서울대), 미국에서의 한국 고전문학 접근방법
- 곽미라(동국대), 고려후기 문인지식인 집단의 형성과 筆記
- 오보라(고려대), 西陂 柳僖의 賦에 나타난 주제의식 고찰
- 조혁상(홍익대), 朝鮮時代 劍士의 文學的 形象化에 대한 考察
ㆍ토론: 이홍식(한양대), 하지영(이화여대), 신정수(고려대), 서정화(고려대), 김진경(고려대), 김홍백(단국대)
- Q 2014년 한국고전문학자대회
-
ㆍ주제: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인문학의 미래
ㆍ일시: 2014년 10월 18일(토) 10:0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 국제원격회의실
ㆍ주최: 한국고전문학회, 한국한문학회, 한국고소설학회, 한국시가학회, 한국구비문학회, 한국고전여성문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ㆍ발표:
- 강명관(부산대), 발전사관을 넘어―한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모색
- 김현양(명지대), 고소설 연구와 ‘내발론’, 그리고 그 ‘이후’
- 최원오(광주교대), 구술성의 문화사적 기여와 인문학적 가치
- 이경하(서울대), 세계화시대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와 여성주의 인문학의 미래
- 김동준(이화여대), 경계의 확장과 한국한문학 연구의 미래
- 고정희(서울대), 고전문학의 지속가능성과 고전문학 교육
- 육민수(덕성여대), 한국고전시가 분야에서의 주요 연구 성과와 기대 지평
ㆍ토론: 김흥규(고려대 명예교수), 정민(한양대), 김경미(이화여대), 조현설(서울대)
- Q 한국실학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
-
ㆍ주제: 18세기를 읽는 네 가지 키워드, 맛ㆍ멋ㆍ흥ㆍ통
ㆍ일시: 2014년 9월 20일(토) 13:0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관 215호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한국실학학회
ㆍ발표:
- 이숙인(서울대), 18세기의 음식 문화
- 송지원(서울대), 18세기 음악의 멋
- 김동준(이화여대), 18세기 文人 夜宴의 현장과 예술적 아우라
- 김문식(단국대), 18세기 국왕의 소통 방식
ㆍ토론: 김선희(이화여대), 이정희(서울대), 정은진(영남대), 김백철(서울대)
- Q 한국실학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
-
ㆍ주제: 조선후기 실학자의 현실 인식과 사회경제개혁론
ㆍ일시: 2014년 4월 5일(토) 13:3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 제6회의실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한국실학학회
ㆍ발표:
- 송양섭(고려대), 반계 유형원의 지방제도 개혁론
- 이근호(한국체대), 담와 홍계희의 사회경제 정책 구상
- 김덕진(광주교대), 존재 위백규의 현실 인식과 부세·재정 개혁론
- 손병규(성균관대), 다산 정약용의 재정개혁론
ㆍ토론: 서태원(목원대), 조성산(성균관대), 권기중(한성대), 정호훈(서울대)
- Q 한국한문학회 2013년도 제10차 전국학술대회
-
ㆍ주제: 한국한문학의 지역 간 교섭과 문화의 역동적 생성
ㆍ일시: 2013년 10월 25~26일(금~토) 09:0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 / 청산MK문화관
ㆍ주최: 한국한문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- Q 한국고전번역원 2013년도 하반기 학술대회―한국문집속총간 완간 기념
-
ㆍ주제: 문집, 조선시대 문화권력의 상징―조선시대 문집의 출판과 유통
ㆍ일시: 2013년 10월 22일(화) 13:0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 B1 국제원격회의실
ㆍ주최: 한국고전번역원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, 한국고전번역원
ㆍ발표:
- 백승호(서울시립대), 정조의 신료 문집 산정 및 편찬에 대하여
- 김태년(한국고전번역원), 『율곡별집』 편찬과 율곡학파의 분기
- 김영진(성균관대), 조선조 문집의 출판과 유통
- 심경호(고려대), 연구 자료로서 문집의 활용 방안
- 박재영(한국고전번역원), 고전적 정리의 측면에서 본 ≪한국문집총간≫ 간행의 의미와 향후과제
ㆍ토론: 김문식(단국대), 오항녕(전주대), 부유섭(한국고전번역원)
- Q 한국실학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
-
ㆍ주제: 실학파 문학·예술 연구의 새로운 지평
ㆍ일시: 2013년 6월 29일(토) 13:30~18:00
ㆍ장소: 고려대학교 청산MK문화관
ㆍ주최: 한국실학학회
ㆍ주관: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
ㆍ발표:
- 최윤정(용인대), 명재 윤증의 書簡 연구―아들 行敎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
- 박경남(고려대), 유한준 문학의 실학적 면모
- 김현권(문화재청), 전통의 계승, 김정희의 초기 서화
- 김용태(성균관대), 정산 이병휴의 시를 통해 본 실학파 문학의 한 특질
ㆍ토론: 김현미(이화여대), 김우정 (단국대), 정혜린(성균관대), 윤재환(단국대)